전시

전시
본문시작
  • home
  • 전시
  • 제4전시관
  • 현재 전시

제4전시관 Gallery 4

POSTER_IMAGE
「k명품 공예, 전통의 향기」임경문 작가 전시
전시기간2025-07-08 ~ 2025-09-30
전시장소삼례문화예술촌 제 4전시관
관람시간10:00~18:00 (매주 월요일 휴관. 무료관람)
관람문의063- 290 -3862~3
 




2025
년 명품관광지 하반기 공예품 공모전시



k명품 공예, 전통의 향기임경문 작가 전시









 
청자를 이어분청을 만나다.
 
 
옛 도공이 그러했듯,
임경문 도공 역시 가마 앞에 서서 오래된 아름다움이 다시 태어나는
순간을 기다립니다
.’

                                                                  
                                                                          이번 전시는 고려청자에서 조선시대 분청사기와 백자에 이르기까지.
                                                                                           한국 전통 도자기의 흐름을 오랜 세월에 걸친 재현 작업을 통해 보여드리는 자리입니다.
                                                                          완주 화산리 가마터 인근에 자리한 전통 화심 도요의 임경문 도공은 도자기에
                                                                          입문한 이래
38년에 가까운 세월 동안 전통 도자기의 재현에 한결같이
                                                                          매진해 왔습니다.
 
                                                                               그는 화심리에서 출토된 유물뿐 아니라,
                                                                         국내외 주요 박물관에 소장된 도자 유물과 완주 화심리·부안 우동리 가마터의
                                                                         파편들을 연구하며
, 옛 도공의 방식을 그대로 이어 장작가마 중심의 작업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습니다
.

                                                                              흙을 고르고 수비해 점토를 빚고, 발 물레로 형태를 만들어 문양을 새기며,
                                                                        초벌 소성과 장작가마에 알맞은 유약을 배합하고, 이어 56일 간의 장작가마 재벌 소성까지
                                                                        모든 공정은 임경문 도공의 손을 거쳐 완성됩니다
.

                                                                             임경문 도공은 150회를 넘는 장작가마 소성을 통해 고려청자의 비색,
                                                                        분청사기의 자유롭고 다양한 상감 기법, 백자의 단아하고 절제된 미를 되살려 왔습니다.

                                                                             그 긴 여정 속에서 탄생한 작품들 가운데 일부를 이 자리에 모아, 전통 도자기의
                                                                       깊은 아름다움을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